본문 바로가기

인동초와 바보

국제엠네스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에 깊은 애도(펌)

반응형


장기간 자리를 비웠습니다. 비운 만큼 올려야 할 글감도 많지만, 일단 급한 소식부터 전합니다.

국제앰네스티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애도의 뜻을 밝혔습니다. 양심수이자 사형수였으며, 인권을 위해 투쟁해 온 김대중 전 대통령과 국제앰네스티의 관계는 매우 밀접했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영국 방문 시에 런던의 국제사무국을 직접 방문하여 감사의 뜻을 표하기도 했고, 대통령 재직시 자신을 앰네스티 가족의 한 사람이라고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앰네스티의 애정도 남달랐습니다. 사형선고를 받았을 당시 전세계적으로 구명운동을 펼치기도 했고, 회원들 역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관계는 그 이후로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얼마 전 아이린 칸 사무총장을 만났을 때, 자신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쾌유를 비는 메시지를 보낼 계획이라고 하더군요.

그렇지만, 이 이야기를 들은지 며칠이 안 되어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서거하셨고, 앰네스티는 이를 깊이 애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앰네스티의 홈페이지에 방문해보시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첫 페이지에 김대중 대통령 서거 소식을 띄워 놓았고, 옆에는 동영상도 함께 걸어 놓았습니다. 이런 조치는 앰네스티에게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써, 김 전 대통령에 대한 국제앰네스티의, 그리고 국제사회의 평가가 어떠한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또한 아이린 칸 사무총장은 직접 이희호 여사 앞으로 조문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아이린 칸의 조문 메시지는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이 자리에 소개할 수 없고, 나머지 자료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동영상은 지난 4월 세계적인 사형폐지 캠페인을 위한 영상물 제작을 위해 앰네스티 팀이 내한하여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가진 미공개 인터뷰 중 일부입니다. 그 다음은 관련된 보도자료 전문입니다. 함께 싣는 사진은 1980년 당시 앰네스티 회원들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구명을 위해 벌인 시위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국제앰네스티 홈페이지에 실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관련 기사입니다. 번역을 하지 못한 점 양해바랍니다. 영문이 훨씬 애도의 마음을 잘 살려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대통령을 가졌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편히 쉬십시오.



국제앰네스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에 깊은 애도의 뜻을 전달하다


국제앰네스티는 오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 이희호 여사에게 조문을 발송하고 깊은 애도의 뜻을 표명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국제앰네스티가 캠페인활동을 벌이기도 했던 사형수이자 양심수이기도 했으며, 평생동안 한국과 세계 속의 인권 신장을 위해 싸워왔던 활동가였다. 한 때 그 자신이 사형수였던 그는 사형제도의 폐지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이었다.

아이린 칸 사무총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은 국제앰네스티와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의 영웅이었으며, 7,80년대 한국의 민주화를 위한 불굴의 자세와 투쟁으로 영감을 준 사람이었다.”라며, “국제앰네스티는 그가 양심수로 투옥되었을 때, 또 사형선고를 받았을 때 그를 위해서 캠페인 활동을 할 수 있었던 특권을 가졌다.“라고 덧붙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 사람의 인권활동가로서 자신의 표현의 자유를 평화롭게 행사한 것으로 인해 인권침해를 당했던 사람이었다. 1970년대에 그는 많은 시간을 가택연금과 징역으로 보냈으며, 국제앰네스티가 처음 그를 양심수로 간주하고 구명활동을 전개했던 것도 바로 그 때였다.

“같은 노벨상 수상 동지로서, 국제앰네스티는 김 전 대통령과 함께 사형제도에 대한 반대활동을 함께할 수 있어 영광이었으며, 그의 인권에 대한 헌신에 깊은 감명받았다.”라고 아이린 칸 사무총장은 말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취임한 1998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사형집행이 없었으며 국제앰네스티는 2007년 말 대한민국을 ‘사실상 사형폐지국’으로 분류했다. 지난 4월 국제앰네스티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사형제도의 폐지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다음과 같이 밝히기도 했다.

“인간이 인간을 죽일 수 없습니다. …… 사형제도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고, 사형폐지에 있어서는 아시아가 모범을 보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이라는 유산을 남기고 85세의 일기로 생을 마쳤다. 국제앰네스티 아이린 칸 사무총장은 이희호 여사에게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에 관한 애도의 뜻을 담은 조문을 발송했으며, 유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달했다.

Kim Dae-jung, human rights champion and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dies

President Kim Dae-Jung with Amnesty International Secretary General Pierre Sané after signing the UDHR pledge, September 1998 © Amnesty International

19 August 2009

Former South Korea President Kim Dae-jung died on Tuesday, aged 85. A winner of the Nobel Peace Prize for his efforts at reconciliation with North Korea, he leaves a legacy of commitment to human rights and democracy.

A former prisoner of conscience, Kim Dae-jung was a lifelong activist who sought to raise the profile of human rights both in Sou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Once a death row inmate, he was a tireless campaigner against the death penalty.

"Kim Dae-jung was a hero and inspiration to Amnesty International and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for his uncompromising stance and struggle for democracy in South Korea during the seventies and eighties," said Amnesty International's Secretary General, Irene Khan.

Kim Dae-jung attending World Day against the death penalty in Seoul, October 2007 © Amnesty International


"Amnesty International is privileged to have campaigned on his behalf, as prisoner of conscience, during his years of imprisonment and when he was given the death sentence."

Kim Dae-jung was considered a dangerous radical in the 1970s and 1980s, during South Korea's decades of military dictatorship. He survived assassination and abduction attempts, walked free from a death sentence and was exiled twice.

Over several video interviews with Amnesty International in April, Kim Dae-jung discussed his childhood (he was the son of a middle-class farmer), his experiences as a prisoner of conscience, the attempt on his life in Tokyo in 1973 and his time as president. One of the main topics of conversation though, was the death penalty. He said:

"A human should not kill a human. We need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in Asia…If the death penalty were abolished, it would change the atmosphere in Asia and also have a positive knock-on effect in Central & South America and Africa and the rest of the world…the issue of death penalty is one of the most serious issues confronting human beings, and I hope that, if possible, the Asian countries will set an example in sorting out this problem."

As a human rights activist, Kim Dae-jung was subjected to human rights violations for peacefully exercising his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He was kidnapped in Tokyo's Grand Palace hotel in 1973 by South Korean agents. He was dragged to a ship where he said they planned to dump him at sea. The US government intervened to save him and the agents then abandoned their plan. The assassination attempt was in apparent response to his public opposition to the rewriting of the Constitution, which gave more power to General Park Chung-hee, the country’s military ruler.

Kim Dae-jung spent much of the 1970s under house arrest or in prison.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he was first adopted as a prisoner of conscience by Amnesty International.

He was arrested in March 1976, as a prominent signatory of a "Declaration for National Democratic Salvation". He was arrested again in May 1980, just before the Kwangju Massacre, which resulted in the deaths of civilians who had risen up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He was accused of having "instigated" agitation. He was sentenced to death in September 1980.

Amnesty International, and many other human rights and pressure groups, campaigned vigorously on Kim Dae-jung's behalf throughout that period.

In 1981, following widespread international protests and campaigning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is death sentence was commuted; in 1982 he was released on a "suspended" sentence. He then went to live in Boston where he taught at Harvard University.

In February 1985, he was placed under house arrest again on the day he returned from two years' exile in the USA. House arrest and harassment continued until February 1986.

During a visit to London in 1993, Kim Dae-jung presented Amnesty International with calligraphy he had written, of four Chinese characters meaning “All Nations are One Family”.

He was elected President of South Korea in December 1997. It was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s history that the power of government had been passed from the ruling party president to an opposition leader.

During his presidency Kim-Dae-jung became the first and so far only Korean to be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in 2000. This was for his instigation of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promoting closer ties with communist North Korea.

Kim-Dae-jung’s term as President of South Korea ended in 2003.

"As fellow Nobel Laureates, we were honoured to share President Kim’s ardent opposition to the death penalty, and we were moved by his dedication to campaigning for human rights," said Irene Khan.

출처 : http://www.amnestydiary.net/319



반응형